본문 바로가기
경제 공부

SM엔터테인먼트 경영권 분쟁과 주주행동주의

by HRQR 2023. 3. 6.
728x90
반응형

최근 SM엔터테인먼트의 이야기가 화제다.

SM엔터테인먼트는 1995년 이수만님이 국내 최초로 설립한 엔터테인먼트 회사다.

아이돌로 키울 연습생을 캐스팅하고, 트레이닝 시켜서 기획에서 관리까지 아이돌 양성, 콘텐츠 개발회사이다. 최근 세계시장에서 K팝이 대세인 것도 SM과 같은 엔터테인먼트 회사의 힘인 것 같다. 이러한 K팝은 음악 뿐만 아니라 한식, 여행, 경제 등 시너지 효과가 큰 것은 분명하다.

 

그런 SM엔터테인먼트가 요새 흔들흔들 한다.

처음 이 뉴스를 들었을 때 카카오와 주주들이 짝짝꿍해서 신주에 전환사채까지 발행해서 경영권을 사수하려는 내용인 줄 알았다. ... 꼭 아닌건 아닌 것 같지만....

조금만 더 들어가 보니 뭔가 좀... 이상한 내용이 있었다.

 

라이크기획SM소속가수 음반 등을 프로듀싱하는 회사인데...

이 회사가 이수만님의 개인회사이고, SM엔터테인먼트의 년 매출의 몇프로의 저작권 계약을 맺고 있었다.

... 대기업들에서 종종 있는 관계구나 생각했다. 사실 자회사에 일감 몰아주고 뭐... 그런...

 

이런 나의 생각들이 문제였다. 이런 일들은 당연한 일들이 아니었다.

그냥 대한민국에서 오래 살다보니 뭐... 있는 사람들은 저렇게 산다고 하더라... 하면서 넘기는 나의 생각들이 문제였다.

이태원 클라스의 박새로이가 했던 얘기가 떠올랐다.

지금 한 번? 지금만 한 번, 마지막으로 한 번, , 또 한 번! 순간엔 편하겠지. 근데 말이야. 그 한 번들로 사람은 변하는거야

 

주주행동주의는 주주들이 기업의 의사결정에 적극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하여 자신들의 이익을 추구하는 행위를 말한다. 배당금이나 시세차익에만 주력하던 관행에서 벗어나 부실 책임 추궁, 구조조정, 경영투명성 제고 등 경영에 적극 개입해 주주가치를 높이는 행위 등이 이에 속한다. 한편, 주주행동주의자(shareholder activist)들은 이를 실천하는 사람들을 말한다.

최근 주주행동주의 펀드가 다시 관심을 끄는 건 2017년 스튜어드십코드가 도입되면서다. 기관투자가의 의결권 행사 지침을 의미하는 스튜어드십코드는 단순한 의결권 행사를 넘어 기업과의 적극적인 대화를 통해 고객 수익률을 극대화하는 게 목적이다. - 네이버 지식백과

 

스튜어드십 코드란 연기금과 자산운용사 등 주요 기관투자자들의 의결권 행사를 적극적으로 유도하기 위한 자율지침을 말한다. 서양에서 큰 저택이나 집안일을 맡아 보는 집사(스튜어드·steward)처럼 기관들도 고객 재산을 선량하게 관리해야 할 의무가 있다는 필요성에 의해 생겨난 용어다. , 스튜어드십 코드는 주요 기관투자자가 주식을 보유하는 데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투자 기업의 의사결정에 적극 참여해 주주와 기업의 이익을 추구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과 투명한 경영을 이끌어 내는 것이 목적이다. - 네이버 지식백과

 

20223SM 주주총회에서 얼라인파트너스라는 사모펀드에서 소액주주들과 힘을 모아 회사를 감시하는 감사를 놓고 SM측과 투표를 열였고, 소액주주들이 이겼다. 주주행동주의가 승리한 것이다. 주주들의 이익만 추구하던 관행에서 벗어나 기업부실, 경영투명성 등 기업의 경영에도 영향을 줄 수 있었던 것이다. 그 결과 배당금을 약속했다고 한다.

 

최근에는 SM 경영진은 이수만과 프로듀싱 계약까지 종료했고, 카카오와 손을 잡았은 뒤, 신주와 전환사채를 발행했다. 카카오를 지분 2위로 끌어 올리려 하였으나, 경영권 분쟁의 상황에서 의도적인 행위와 미공시의 이유로 법원에서는 이수만님의 손을 들어주었다.

 

경영권 분쟁의 결론은 이달 말 주주총회에서 경영진을 뽑는 자리에서 소액주주(60% 이상)들의 투표에 결정된다.

카카오측도 이대로 포기할지 다른 분쟁으로 이어질지는 알 수 없다.

 

갑자기 아파트 관리사무소에서 종종 오는 투표가 생각난다. 바쁘고 특별하지 않아서 매번 그냥 무시하는데... 예전에 입주자대표 선거때, 동대표 회의때 시끌시끌 했던 것을 보면 뭔가 구린게 있긴 한가본데... ... 관심을 가져야 겠다.

728x90
반응형

댓글